인테리어가 끝난 집을 보면 설렘 반, 걱정 반이죠. 특히 마지막 관문인 입주청소를 셀프로 하기로 마음먹었다면 준비가 필요합니다. 입주청소는 일반적인 청소와는 달리 아주 힘든 작업이기 때문에, 계획과 준비물, 청소 순서를 꼼꼼히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셀프 입주청소 준비부터 체크리스트, 꿀팁까지 모두 정리해 드릴게요.
인테리어 후에는 먼지, 시멘트 가루, 실리콘 찌꺼기, 접착제 자국, 도배 풀 등 평소에 볼 수 없는 온갖 오염물들이 집 안에 가득한 상태입니다. 일반 청소도 힘든 것이 사실인데, 인테리어 공사로 인한 분진은 미세하고 공중에 계속 떠다니기 때문에 한 번 닦는다고 해결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전문 업체에 맡기지만, 비용 절감과 만족스러운 결과를 위해 셀프로 도전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큰 쓰레기 정리 → 먼지 제거 → 구석 청소 → 마감 청소
순서 | 내용 | 체크포인트 |
1. 큰 쓰레기 정리 | 인테리어 자재, 필름 제거 | 대형 쓰레기 봉투 준비 |
2. 먼지 흡입 | 청소기로 바닥, 벽 모서리 등 흡입 | 틈새용 툴 활용 |
3. 물걸레질 | 2~3회 반복 | 첫 번째는 먼지 제거, 두 번째는 마감 |
4. 창틀·샷시·문틀 | 스크래퍼나 칫솔로 구석 청소 | 진공청소기 + 브러시로 먼지 흡입 |
5. 욕실·싱크대 | 먼지, 매지 작업으로 인한 시멘트 가루 청소 | 타일솔, 중성 세제 활용 |
6. 유리, 거울 | 스퀴지 + 주방세제로 이물질 제거 | 자국이 남지 않도록 마른 걸레로 마무리 |
7. 마무리 소독 | 도어 손잡이, 콘센트, 스위치 등 | 알코올 또는 세정 티슈로 표면 소독 |
혼자 하지 말고 최소 2인 1조가 이상적입니다. 청소 시간은 평형대에 따라 다르겠지만 30평대 기준 기본적으로 5~7시간 이상 걸릴 수 있습니다.
공정별로 목표 시간을 설정해 시간 낭비를 줄여보세요.
전체 청소를 하루에 끝내기 어렵다면, 욕실, 창문, 주방은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하루 전날 미리 청소해 두는 것도 방법입니다.
에어컨 실외기실, 전열교환기, 몰딩, 걸레받이도 꼭 체크하세요. 시공 중 생긴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기 쉬운 곳이니 놓치지 말고 마지막에 한 번 더 점검하면 좋습니다.
항목 | 셀프 청소 | 청소 업체 외주 |
장점 | 비용 절감, 꼼꼼하게 가능 | 빠르고 편리함 |
단점 | 시간 소모, 체력 소모 | 비용 부담 (약 30~40만원대) |
셀프 입주청소는 분명 쉽지 않은 길이지만, 그만큼 애정을 담아 공간을 완성하는 마지막 과정입니다. 올바른 준비와 체계적인 계획으로 하나하나 진행하다 보면, 인테리어의 만족도가 훨씬 높아질 거예요.
조만간 셀프 입주청소의 생생한 후기를 따로 정리해서 공유해 볼 예정입니다. 앞으로도 도움이 되는 인테리어와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꾸준히 전할 테니, 관심 있게 지켜봐 주세요 :)
인테리어 공정 일지: 10~12일차 타일 공사 후기와 아쉬운점 총정리 (1) | 2025.05.27 |
---|---|
인테리어 공정 일지: 7~9일차 목공 공사 (1) | 2025.05.20 |
인테리어 공정 일지: 전기공사, 방수공사 체크포인트 (4~6일 차) (2) | 2025.05.14 |
인테리어 시작! 철거 3일 차까지의 변화 기록 (0) | 2025.05.12 |
디아망 벽지 회벽화이트와 어울리는 화이트 인테리어 필름지 추천 (브랜드별 비교) (0) | 2025.05.11 |